임신 합병증 Pregnancy complications

임신을 하는 여성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많다. 아가의 건강, 출산의 두려움도 있지만 무엇보다 아가와 자신의 몸에 생길 수 있는 임신 합병증 Pregnancy complications이 가장 두렵지 않을까?

그렇다면 이러한 임신 합병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임신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미리 조심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자.




  • 임신중독증 pre-eclampsia
: 임신성 고혈압, 전자 간증, 자간전증과 비슷하다.

: 임신 기간 중에 혈압이 상승하거나 소변에서 단백질이 검출되는 현상이다.

: 임신 7개월 이후부터는 조심해야하는데 자궁 내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조기 출산, 태반의 사망, 신장의 기능 장애, 만성 고혈압 등의 합병증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 체중이 갑자기 증가하거나 부종, 두통 등 증상이 뒤따르고 그 외 시력 장애, 오른쪽 상복부가 아프거나 소변량이 감소한다면 의심해볼 수 있다.

: 따라서 가벼운 부종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너무 심하다면 임신 중독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 첫 임신이거나 35세 이상의 산모, 평소에 신장 질환이 있을 경우 또는 비만이거나 당뇨, 기왕 등이 있으면 임신중독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

: 임신 20주 이후, 또는 출산 12주 안에 정상이 된다면 임신성 고혈압으로 취급한다.

: 혈압을 측정하거나 소변검사, 혈액검사로 이루어지며 임신중독성일 경우 고혈압, 혈소판이 감소했거나 간수치가 증가, 단백뇨 등이 발견되기도 한다.








  • 임신성 당뇨 Gestational diabetes
: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이 기능하지 못하는 것을 당뇨라고 한다. 임신성 당뇨의 경우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을 뜻한다.

: 증상은 따로 없기 때문에 임신 24~28주에 실행하는 산전 검사를 통해서 발견할 수 있다.

: 임신성 당뇨를 피하고 싶다면 평소에 체중 조절을 통해서 급격한 체중 증가를 피하는 것이 좋다.

: 단 간식보다는 담백한 크래커 타입을 먹는 것을 추천한다.

: 식사 전에 운동은 추천하지 않고 있다. 아령 운동이나 수영, 요가 등등 운동이 효과가 좋다.







  • 임신 소양증 Pruritus
: 보통 임신 20주부터 임신 말기까지 배, 허벅지 부근에서 많이 나타난다.

: 가려운 곳을 긁기 시작하면 오돌도돌한 피부 발진이 점점 올라오면서 전신으로 퍼지기 시작한다.

: 따라서 긁지 않으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너무 자주 씻지 말고 더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것을 추천한다

: 이유는 굉장히 다양한데 호르몬 변화, 온도 변화 같은 자연적인 이유가 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스트레스성, 철분제, 원활하지 않은 혈액순환 등의 이유가 있을 수도 있다.

: 봄, 가을같은 환절기에 특히나 복부, 옆구리 부분에 땀띠 heat rash처럼 발진으로 시작해서 점점 다리, 팔, 얼굴까지 가려워질 수 있다.

: 보습제는 필수로 발라주면서 보습에 신경을 쓰며, 냉찜질도 가끔씩 해주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 심각하다면 병원에서 진료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 쌀, 현미, 보리, 콩 등의 잡곡을 먹는 것이 좋다.

: 과일과 더불어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먹는 것도 좋다.

: 다행스럽게도 출산과 동시에 자연스레 사라지는 증상이다.





  • 임신성 신부전증 Cardiac insufficiency
: 주산기 심근증이라고도 부른다.

: 첫 출산이나 또는 고령 임신 (35세 이상)일 경우 발생률이 높다.

: 심장의 좌심실이 확장되어서 심부전을 유발하는 것이다.





  • 전치 태반 조기박리
: 임신 후반기에 자궁  출혈이 생기면서 발견된다.

: 태반이 출산 시에 아가가 나오는 자궁문을 가리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 자궁 내부 위쪽이나 자궁 입구에서 태반이 위치해 있는 것이 정상적이다.




  • 출산우울증 PPD. PostPartum Depression
: 출산 후에 몸이 무겁게 느껴지고 마음이 우울한 복합적인 증상이다.

: 관절 통증이 있고 몸에 찬기운이 도는 것이 느껴지고 기분이 처지는 증상이 오래간다면 병원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산후풍 Postpartum stroke
: 아침마다 손가락 사이의 관절이 뻣뻣하게 아프고 손목 관절, 무릎 관절 등이 힘이 없어서 굽히는 것이 힘들고 허리 아래 엉덩이가 저리고 목과 어깨가 자주 뭉치는 현상이다. 

: 대체로 찬 기운을 많이 느끼면서 옷이 흠뻑 젖을 정도롤 땀이 많아진다면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 그 외
: 변비 constipation는 사과, 블루베리, 바나나, 푸룬 등을 우유와 함께 갈아서 마시면 좋다.

: 출산 후 6개월이 지나면 치골의 통증은 나아진다.

: 요통에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므로 평소에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출산 후 발바닥 아치 아래 펜을 하나 두었을 때, 펜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 위험성이 증가하는데 이처럼 임신 중 무너진 발바닥 아치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평발이 될 수 있다.

: 따라서 출산 후에도 산전검사처럼 산후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 산후검사에는 요실금, 산후풍, 산욕열, 방광염, 빈혈, 내진, 관절염 등을 알아보기 위해 골반 초음파, 갑상샘 검진, 소변검사, 자궁경부암 검진이 이루어진다.




#임신합병증 #임신중독증 #임신소양증 #pregnancycomplications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신글

Grammais progressive du français corrigés(답지) pdf

프랑스어를 배우는 사람에게는 필수적인 문법책이지요. CLE 출판사에서 나온 GRAMMAIRE PROGRESSIVE DU FRANCAIS 시리즈입니다. 업그레이드와 수정을 자주하는 책이기 때문에 답안지가 출판연도에 따라서 약간 달라지기도 합니다. 이 점...